대기업-중기 상생협력 30대그룹으로 확대

  • 등록 2006.05.29 10:06:16
크게보기

대기업 보육시설 중기 근로자에 개방

 

대기업-중기 상생협력 30대그룹으로 확대

 

대기업 보육시설 중기 근로자에 개방

 


 

올해부터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 참가기업이 종전 10대 그룹에서 30대 그룹으로 늘어나며, 총 1조3,000억원이 투자된다.

 


 

상생협력 대상도 종전 1차 협력업체에서 2차 협력업체까지, 종전 제조업 위주에서 유통·에너지·건설업까지 확대된다.
 

 


 

또 ‘멀리보는 상생협력’을 위해 비정규직, 저출산 등 사회문제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차원에서 다뤄진다.

 


 

정부는 24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보고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한명숙 국무총리, 정세균 산업자원부장관, 이상수 노동부장관, 권오승 공정거래원장 등 정부측 인사와 이건희 삼성회장, 최태원 SK회장, 구본무 LG회장 등 대기업 회장 20여명, 중소기업인 대표 2명 등 모두 40여 명이 참석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통해 상생협력이 대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경영전략인 동시에 사회발전전략이라는 점에 정부와 업계가 인식을 함께 했다”고 밝혔다.

 


 

◆ 상생협력 참가기업 늘어난다

 


 

올해부터 상생협력 사업에 30대 그룹이 참가하고, 투자규모도 지난해보다 31% 많은 1조3,000억원으로 늘어난다.

 

지금까지는 10대 그룹 위주로 진행돼 2004년 6,400억원, 지난해 8,300억원의 투자가 이뤄졌다.

 

지금까지 제조업을 중심으로 1차 협력업체에 집중됐던 상생협력이 유통업, 에너지, 건설업 등으로 확대되고, 대상기업도 2차 협력업체로까지 넓혀진다.

 


 

우선 대형 유통업체의 불공정거래행위를 감시하기 위해 오는 6월 납품, 점포임차업체 3,000여 개를 대상으로 실태조사가 실시된다.

 

내년 5월에는 중소기업 판로 확보를 위해 ‘유통산업 상생협력박람회’가 열린다.

 

또 오는 하반기 대·중소 유통업체 공존을 위한 ‘상권중심지 활성화법’ 제정이 추진되고,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가 구성된다.

 


 

에너지산업 분야에서는 한전 등 대기업 등이 전문투자조합을 결성, 500억원의 투자금을 마련해 전기분야 우수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 등을 지원하게 된다.   

 


 

또 중소 납출업체를 돕는 수급기업투자펀드 수혜대상이 앞으로 2, 3차 납품업체로까지 확대된다. 금리는 신용등급 B+ 기준으로 종전 12%에서 7%로 낮아진다.

 

수급기업투자펀드란 중소기업청이 일반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기술력은 우수하지만 영세한 납품업체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투자하는 펀드이다.

 


 

그 밖에 반도체·디스플레이산업을 중심으로 대기업이 중소 협력업체의 원천기술 상용개발을 돕기 위해 정부와 대기업이 공동으로 개발∼양산까지를 일괄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 대·중소기업 머리 맞대고 사회문제 푼다

 


 

이날 회의에서 정세균 산자부장관은 “상생협력이 단지 기업간 협력에 머물지 않고 비정규직, 저출산 등 사회문제를 포괄하는 사회발전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제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비정규직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도록 정부와 대기업이 공동지원키로 했다.

 


 

저출산 대응방안으로는 대기업의 직장보육시설을 근처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개방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17개 국가산업단지 중 보유시설이 없는 곳이 10곳에 달한다. 30대 그룹은 지난 2월 현재 23개 사업장에서 1,539명을 보육하고 있다.

 

또 고용보험기금을 활용해 산업단지 내에 보육시설이 포함된 ‘중소기업 종합복지센터’를 짓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이밖에 오는 6월 4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에 맞춰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상생협력위원회’를 설치해 각 부처별 사업을 총괄 조정하게 된다. 또 지속적인 상생협력을 지원하기 위해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산하에 ‘생생협력 연구센터’를 설치키로 했다.

 


 

◆ 상생협력으로 대기업 경쟁력 높인다

 


 

이날 회의에서는 그동안 산자부와 학계가 공동으로 연구한 ‘상생협력 발전모델’이 발표됐다.

 

발표자로 나선 김기찬 가톨릭대 교수는 “대기업 공급사슬의 경쟁력은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에 의해 결정된다”며 “협력업체에 대한 대기업의 상생협력 투자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대기업의 생생협력 투자는 다시 대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져 결국 대·중소기업이 동반성장하는 선순환구조가 만들어진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가 발표한 상생협력 발전모델은 대기업의  상생경영  투자 확대가 협력업체의 역량을 강화하고 신뢰를 확대해 건강하고 생산적인 기업생태계를 조성, 결국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구조를 이룬다는 내용이다.

 


 

글로벌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기업들은 납품단가를 인하하려고 한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협력업체가 단가인하를 감당할 수 있도록 협력업체의 기술.인력.자금.판로 등 4대 역량을 개발하는데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정부는 이런 발전모델이 대기업의 경제적인 이해관계와도 일치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상생협력이 기업의 경영전략으로 활용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동옥 기자 mgs54@hanmail.net
ⓒ 한국기자연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4동 431-51 3층|Tel 032)435-2585|Fax 032)522-8833 | 제호:한국기자연대 |창간·발행일:2006-3-9|등록번호:인천 아 000005|등록일:2006-3-24 | 발행·편집인:김순연|부회장 이기선 ㅣ편집국장:김순연|청소년보호책임자:백형태 Copyright(c) 2006 한국기자연대 All rights reserved. webmaster@csojournali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