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업무성과에 보직과 보수 결정

장관과 본부장간 직무성과 계약 체결

산자부, 업무성과에 보직과 보수 결정

산자부 장관과 본부장간 직무성 계약 체결


「본부장-팀제」조직개편(6.9) 취지에 따른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21일 오후 3시 산자부 대회의실에서 본부장급 10명과 하반기 직무달성목표에 대한 성과계약을 체결하였다.


22일 산자부 관계자는 「고위공무원단」제도 출범(7.1)에 따라, 고위공무원단 소속 산자부 간부들은 실질적으로 금번 협약서에 기술된 성과의 달성여부에 따라 보직과 보수가 결정되게 된다. 산업자원부는 이번 직무성과계약 체결을 통해 성과와 책임을 중심으로 한 “실적경쟁의 원리”가 부내에 본격 도입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부내 성과관리시스템의 구축에 따라 본부장 이하 사무관까지 계약서에 명시된 업무목표의 달성도에 따라 인사·보수상 평가를 받게 되며, 특히 직급별로 설정된 고유정책과제(어젠다)에 대해서는 온라인 시스템으로 추진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개인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특히 직무성과계약 체결은 특히, 5급 사무관까지 확대되어 산자부 전체적으로 성과중심의 문화가 정착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팀장급 이하 사무관까지의 직무성과계약 체결은 8월말까지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계획이다.

                (성과관리)

직무

성과

평가

인사

다면평가

부  서  평  가

업무프로세스 개선

업무성과

고객만족

학습

기타

혁신마일리지

전화친절조사

홍보실적평가

PC

RM

전자정부구현

정책

(업무)

평가

혁신업무협약

민원제도개선

민원 (내부고객)만족

고객다면평가

교육학습실적

기관장업무평가

단순

다차원

사업부서

40%

7%

8%

6%

3%

6%

3%

3%

6%

3%

3%

6%

6%

감점

(팀장

이상)

가감점

(±2점이내)

지원부서

10%

5%

-

-

10%

10%

-

-

10%

-



      (각 본부장별 주요 성과목표)

 
 

본 부 명

고유정책과제(Agenda)

정책홍보관리본부장

 ㅇ 산자부의 전반적 혁신수준 제고

    (혁신수준 진단 6단계(혁신문화 정착단계) 진입)

 

 ㅇ 외부고객 정책홍보 지원 ․ 관리 강화

    (고객기업 종합DB 구축 및 고객만족도 3%p 향상)

산업정책본부장

 ㅇ 대 ․ 중소기업 상생협력을 기업문화로 확산

    (대기업 상생협력 투자 1조 1천억원 이상)

 

 ㅇ 한 ․ 미 FTA를 활용한 산업구조 선진화 전략 마련

    (3대 총괄전략 수립 및 민관전략회의 12회 개최)

기간제조산업본부장

 ㅇ 주력산업과 부품 ․ 소재의 선순환 구조 정착

    (전체 수출 중 부품 ․ 소재 수출비중 44% 달성)

 

 ㅇ 한국형 제조혁신 제도화

    (i-매뉴팩쳐링 추진계획 수립)

미래생활산업본부장

 ㅇ 융합新산업 육성 추진

    (융합新산업 기본계획 수립)

 

 ㅇ 바이오 인프라 구축 및 활용방안 수립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 운영방안 수립)

무역투자정책본부장

 ㅇ 수출 ․ 외국인투자 목표 달성

    (수출 3,180억불, 외국인투자 110억불)

 

 ㅇ FTA 추진 종합전략 총괄․조정

    (한․미 FTA 성공적 타결 기반구축 - 주요쟁점 합의도출)

에너지자원정책본부장

 ㅇ 에너지․자원 중장기 지원체계 구축

    (국가에너지위원회 구성 ․ 운영 - 1차 회의 개최)

 

 ㅇ 중장기 에너지효율 향상대책 추진

    (원단위 개선 중 ․ 장기 계획(안) 마련)

에너지산업본부장

 ㅇ 에너지위기 대응능력 제고

    (에너지수급 종합점검 및 대응계획 수립 ․ 시행)

 

 ㅇ 수요에 부응한 에너지 공급능력 확충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에너지자원개발본부장

 ㅇ 해외자원개발 지원시스템 혁신

    (유전개발펀드 도입 ․ 해외자원개발투자 14.8억불 달성)

 

 ㅇ 정상 자원외교 성과 후속조치의 차질 없는 수행

    (한ㆍ러 가스협력협정, 주요광구 본계약 체결)

무역위원회 상임위원

 ㅇ 무역위원회 조직 및 기능 활성화

    (위원회 발전방안 마련․무역구제지원 전담기구 설치)

 

 ㅇ 무역구제제도 확산을 위한 적극적 홍보

    (종합DB 구축 및 고객만족도 15%p 향상)

기술표준원장

 ㅇ 국가표준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KATS 235 종합계획 마련)

 

 ㅇ 기술표준 정책고객 만족 프로그램 개발 ․ 활용

    (Quivice 종합계획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