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 소이작도 물 부족 해결

인천시 벽산파워(주)컨소시엄과 지능형 플랫폼 구축

인천광역시가 13일 송도 G타워에서 소이작도 주민과, 유관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옹진군 및 벽산파워()컨소시엄과 '소이작도 친환경에너지-물 자립 섬 구현을 위한 지능형 플랫폼 구축' 실행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벽산파워()컨소시엄 : 벽산파워(), LG전자(), LG히타치워터솔루션(), JH에너지, 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시는 지난 2015년부터 연구기관 및 기업 등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융합 담수화 연구사업을 지속적으로 제안해 왔다. 그 결과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에너지기술개발 부문 국가 R&D에 선정된 벽산파워()컨소시엄의 사업을 인천시에 유치하고 이 날 실행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사업이 추진되는 소이작도는 인천 남서쪽 42.2에 위치한 1.4면적의 조그만 섬으로 큰말, 목섬, 벌안 3개 마을에 11465세대(‘17.09. 기준)가 거주하고 있다

생활수준 향상과 인구 및 방문객 증가로(도시형 주택 변화 및 펜션 등 관광객 유치시설 증설)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지하수 관정이 대부분 고갈되어 2014년부터 제한급수를 하고 있으며, 비소 검출 등 수질악화로 관정 2개가 폐쇄된 상태로 새로운 식수원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소이작도 주민 숙원사업인 물-부족을 해소하고, 신재생에너지 전력사용으로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급수체계를 구축함을 물론, 시설설치에 필요한 예산도 전액 절감하게 되었다

또한 수질관리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시스템 구축으로 상시 안전한 물 공급이 가능해 지고, 담수화 시설 에너지비용을 신재생에너지 융합을 통해 절감할 수 있어 주민 가계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20199월까지 추진된다. 국가와 기업이 총사업비 4,177백만원(국비 2,147, 컨소시엄 2,030) 전액 투자하는 연구 사업으로 태양광 100, 에너지저장설비 300h, 담수화설비 100/×2계열, 수질감시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설비 등이 구축된다.

그동안 주민설명회를 통해 시설물 설치 장소를 선정하여 지하수 관정 2개소를 개발했으며, 현재 신재생에너지 및 담수화 시설 설계제작 및 각종 인허가 행정 절차 등이 진행 중에 있다.

내년 8월까지 신재생에너지 융합 담수화 설비를 구축해, 시운전 및 수질검사 등을 통하여 먹는 물 수질기준이 확보되면 주민 급수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조동암 정무경제부시장은 협약식에서 이번 사업이 국가 R&D 성공사례로 도서지역의 지속가능한 급수체계 구축은 물론 지역 특성에 적합한 운영 시스템을 상품화 하여 국내 및 해외시장에 진출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시는 이번사업을 통해 해수담수화의 고비용 전력소비에 대한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시설운영부터 관리까지 철저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 기존 및 신규 담수화 설비에 신재생에너지 융합 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