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나라당 김종훈 의원이 공정위에서 제출받은 보고서에서 전체 직원 504명의 8%가 넘는 10명중 한 명꼴로 금품 등 성 대접을 받아온 사실이 밝혀져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4년 7월 D그룹의 부당내부거래를 조사하던 C서기관의 경우 동료 서기관 2명과 함께 D그룹 임원과 고급 유흥주점에서 술과 향응을 접대 받은 뒤 C서기관은 2차 성 접대를 받다 현장에서 정부 합동 감찰반에 붙잡힌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지난해 5월 하도급 관련 조사업무를 담당하던 A서기관은 중소 건설업체 대표로부터 "하도급 공사를 딸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부탁을 받고, 그 대가로 그랜저XG 승용차와 2000만원을 받은 그는 해당 건설업체가 하도급 공사를 딸 수 있도록 자신이 조사를 맡던 대형건설사 담당자에게 압력을 넣은 혐의로 뇌물수수 혐의로 검찰에 구속, 파면됐다.
앞서 지난 2005년 5월 B사무관은 모 업체로부터 현금 1백만원이 담긴 봉투를 받고 정부 과천청사로 들어오다 총리실 감찰반에 적발되어 몸수색 과정에서 그는 감찰반 직원과 격렬한 몸싸움을 벌이며 상처를 입히고 돈 받은 사실을 시인했다
이렇듯 지난해 각종 징계를 받은 공정위 직원은 43명으로 뇌물수수, 휴직기간 과다 보수수령, 부정한 출장여비, 음주음전 등으로 적발되어 전체 직원(504명) 가운데 10명 중 한 명 가까이 징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징계는 가장 낮은 징계인 '주의' '경고' 수준에서 끝난 것으로 상급 기관에 조사를 의뢰하거나 검찰에 고발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드러나 하도급 비리의 기관으로 전락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
실제로 공정위의 내부 설문조사에 따르면 공정위 직원의 54%가 '일반 행정 부처에 비해 금품.향응의 유혹에 비교적 많이 노출돼 있다'고 응답하고 있어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56%의 직원이 직무수행과 관련해서도 '공무원 청렴유지 행동강령 실천 가능성이 회의적'이라고 답하고 있어 기업에 막대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공정위 직원들의 비리 유혹에 노출되어 있어 시급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대해 시민 박모씨는 "성 대접 받으며 뒤에서는 칼날을 휘두르는 공정위 직원들의 사례에 입을 다물지 못하겠다"면서 "경제검찰로 불리는 막강한 공정위 직원들의 비리는 도덕적 해이를 떠나서 국민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