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숭의동 성매매집결지(본보 10월20일)에 대한 단속정보가 업주에게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관련당국의 시급한 실사가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집결지에 대한 공권력의 중요 결정권자에게 정보 등 보고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성매매를 오히려 양상 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로 본지 등이 지난달 30일 단속여부에 대해 관할경찰서에 확인결과 “지난 29일 영업 중이던 20여곳에 대해 단속을 나갔지만 약속이라도 한 듯 문을 걸어 잠그고 영업을 하지 않고 있었다“고 답변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앞서 고위간부는 본지 등과의 인터뷰에서 “벌써 폐쇄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직도 영업하고 있는냐”고 반문하고 나서 집결지에 대한 단속당국의 행태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이와관련 담당부서 관계자는 “주기적인 단속을 하고 있지만, 업주 등이 단속을 나온 경찰관들의 얼굴 등을 알고 있고 단속 시 공갈과 모욕적인 언사를 하는 등 어려움이 있다”면서 “현장 단속에 인력과 장비 등이 턱없이 부족한 형편으로 경찰서 간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른 경찰관은 “담당소관 부서에서 단속을 한 담당자가 정확히 단속현황을 인지 하에 조사하여 거기에 맞는 처벌을 해야 하나 단속현장의 실체를 모르는 채 특성상 업무량이 폭주하고 있는 경제팀에서 넘겨받어 단속 서류만으로 조사를 하고 있어 대부분의 형식적인 벌금형으로 기소되고 있을 뿐이라”며 단속에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대해 전 업주 A씨는 “단속대상의 대부분이 성매매 여성과 현관지기(일명 ‘삐끼‘)와 마담 등으로, 벌금 정도의 미봉단속에 그치고 있는데다 집결지의 근원적 단속대상인 업주들은 직업소개소를 통해 법망을 피하고 있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과정에 집결지 여성들에 대한 이주보상비와 관련하여 지역 간 교체이주를 통해 보상비를 받는 수단으로 여성들이 이동하고 있어 관련당국의 대책이 시급하다”면서 “현재 인천 숭의동의 경우 부산 등에서 상당수의 여성이 유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직업소개소를 통해 오는 여성들은 소개비 명목으로 4∼5백만원을 떠안고 지역 간 이동하고 있어 인테리어 비용 등 수천여만원의 빚을 안고 성적 노예생활을 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서 이주보상비 등에 대한 정부와 자치단체 등의 진정한 접근과 함께 이 여성들에 대한 자활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집결지에 대한 고리는 직업소개소에서 발생되고 있어, 단속에 앞서 민간단체 등과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면담 등을 마련하여 지역 간 이동교체에 따른 업주들의 불법적 고리를 막는 것이 우선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