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국제 산업 중심, 세계속의 울산’을 비전으로 하는 ‘울산 국제 도시화 사업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2008년 국제도시 울산, 10대 핵심과제’를 선정,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10대 핵심과제로 ▲세계조선포럼 등 울산의 상징적 국제행사 추진 ▲동아시아 경제교류추진기구 울산총회 성공개최 ▲국제기구 2개 추가 가입 ▲해외 자매·우호도시 확대 및 교류 내실화 ▲품격있는 외빈 영접체계 구축 ▲2010 수출 1,000억불 달성을 위한 통상시책추진▲월별·테마별 외국인 지원시책(다문화 공동체 선도모델) ▲(가칭)울산국제교류·외국인지원센터 설치 ▲해외명예자문관 울산방문의 해 ▲시정의 해외 홍보강화를 선정했다 시는 이에따라 세계조선포럼 창설, 정밀화학분야 국제 컨퍼런스 추진, 월드뮤직 페스티벌의 국제화 지원 등 울산의 상징적 국제 행사를 적극 발굴 추진키로 했다. 또한 한·중·일 10개 도시 시장, 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참가하는 ‘동아시아 경제교류추진기구 울산총회’(11월5일~11월7일)를 성공적으로 치르고 ‘동북아자치단체연합’(NEAR), ‘세계지방자치단체연합’(UCLG) 등 2개 국제기구에 가입키로 했다. 이와함께 호주 아델라이데(Adelaide)시,
올해 6월21일자로 시행되는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일부개정안에 따라 그동안 관청의 무단현수막이 30일 동안 게시할 수 있도록 제한돼 이 조차 관의 특혜라는 지적이다. 2일 울산시 남구 옥동 신정고등학교 버스정류장 앞에 ‘옥외광고물은 도시의 얼굴’ 이라는 현수막 게시대가 설치돼 있으나 바로 옆 벽에는 선관위의 과태료 광고와 입시학원의 광고현수막이 나란히 붙어 있다. 하지만 선관위의 광고현수막은 불법이 아니고 학원광고는 불법이다. 이곳은 울산서여중, 학성고, 학성중, 신정고 등 학교가 인접해 있어 학원들도 많고 유동인구가 많아 광고하기에 좋은 장소다. 관공서의 현수막이 이 같이 불법이 아닌 것은 현행법상 특례조항에 따라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에 적용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6월 21일자로 시행되는 옥외광고물 적용 배제 조항이 개정돼 국가 등도 광고물 관리법 허가·신고를 준수해야 한다. 단 30일 동안은 이 법의 배제 조항에서 빠져 무단게시가 가능하다. 이에 대해 한 학원 원장은 “일종의 특혜며 관할구청이 민간인들의 현수막은 단속하면서 과태료까지 부과하지만 정작 관청의 무단현수막에 대해서는 제재가 없어 이율배반적인 횡포”라고 꼬집었다. 관청의 현수막을 무
현대중공업이 기능장(技能匠) 시험에서 또 한 번 대규모 합격자를 배출하며, 업계 최초로 500명을 돌파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발표된 「제 41회 기능장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에서 44명이 대거 합격, 업계 최다 기능장 보유 기록을 509명(자격증 601개)으로 늘이며 ‘기술 현대(技術 現代)’의 명성을 이어갔다. 기능장은 국내 기술분야 자격증 중 가장 어려운 것으로, 응시자격도 실무경력 11년 이상(산업기사 자격증 보유 시 6년 이상)인 자로 한정되어 있는 등 해당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만 취득이 가능하다. 특히 지찬형(池燦亨ㆍ46세, 건조1부) 씨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매년 용접, 배관, 보일러, 판금제관을 획득한데 이어 이번에 금속재료 기능장에 합격해 5관왕에 올랐다. 지찬형 기원은 바쁜 회사 생활 속에서도 1년 전부터 매일 퇴근 후 책과 씨름하고 주말은 대부분 도서관에서 보내는 등 평소 부단히 노력한 끝에 이 같은 결실을 맺어 주위 사람들에게 큰 박수를 받았다. 이 외에도 강채원(48세, 중조립부) 씨가 용접, 판금제관, 금속재료에 이어 배관 기능장을 획득하며 4관왕에 올랐고, 배재원(52세, 대조립5부) 씨가 용접, 배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