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돌 맞이한 '2025 김천김밥축제'운영시스템부터 콘텐츠까지 레벨업 완료

지역 로컬 및 8도 이색 김밥 등 50여 종 선보여

 

[한국기자연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데헌(케이팝 데몬 헌터스) 인기에 힘입어 세계 각국의 김밥 열풍 속에 『2025 김천 김밥축제』가 더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올해로 2회를 맞은 『2025 김천김밥축제』는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2일간 직지문화공원 및 사명대사공원 일원에서 개최된다.

 

김천김밥축제는 2024년 처음 시행된 신규 축제로, 지역에 유명한 관광인프라나 축제가 없어 관광객을 늘리기 위해 관광 트렌드를 이끄는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김천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무엇이냐’라는 질문에‘김밥천국’이라는 웃지 못할 답변을 보고 웃픈 오해를 역발상으로 이용하자는 아이디어에서 개최됐다.

 

첫 축제임에도 불구하고 예상 방문객 수를 훌쩍 넘은 관람객으로 축제장은 인산인해를 이루었고, 지금까지 지역 행사장에서 볼 수 없었던 진풍경이 연출됐으며, 인근 상가는 이른 시간 재료가 소진되는 등 김천김밥축제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와 함께, '2025 대한민국 축제 콘텐츠 대상', '소비자가 뽑은 가장 신뢰하는 브랜드 대상' 등을 수상하며 대내외적으로 도시 브랜드 제고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첫술에 배부를 수 없는 법.’ 김천김밥축제는 예상보다 많은 관람객으로 인해 ‘김밥 수량 부족, 셔틀버스 부족, 김밥 구매 시스템 미흡 등’ 축제장 곳곳에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시는 지난해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해 김천 김밥축제를 지역 대표 축제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많은 방문객 대비 좁은 행사장을 개선하고자 행사장을 기존 사명대사공원에서 직지문화공원까지 확장하고, 김밥의 주재료인 단무지, 오이, 햄을 활용한 무지링존, 오잉존, 햄찌존 총 3개 섹터로 나눠 색다른 테마를 연출함으로써 관광객에게 지난해 대비 더욱 재미있고 화려한 가을 소풍의 분위기를 제공한다.

 

또한, 김밥 수량 문제를 개선하고자 판매업체를 지난해 8개 업체에서 올해 30여 개 업체로 대폭 확대해, 로컬 김밥과 스토리텔링 김밥을 포함, 전 세계 K푸드 열풍을 이끌고 있는 냉동 김밥, 전국 팔도 이색 김밥, 김밥쿡킹대회 우수 김밥, 유명 프랜차이즈 김밥 등 50여 종의 김밥을 선보인다.

 

김밥 구매 시스템은 지난해 통합 창구를 통한 결제 방법을 보완해 부스별 개별 키오스크를 설치함으로써 두 번 줄 서야 했던 불편을 줄였으며, 김밥 판매소에 대형 전광판을 배치해 업체별 실시간 김밥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지난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셔틀버스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교통행정과를 전담 부서로 지정하여 셔틀버스 노선 개선, 셔틀버스 4배 증차, 각종 이벤트 실시 등 관람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그 밖에도 김밥축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김밥을 주제로 한 가수 섭외, 프로그램 운영 등을 기획하고 있으며, 꼬달이 기념품 공모전, 김밥쿡킹대회 등을 사전 행사로 실시해 축제 붐을 조성하고 있다.

 

배낙호 김천시장은 “지난해 김밥축제를 통해 우리 시를 알리는 큰 성과도 있었지만, 부족한 점도 많았다.”라고 말하며, “올해 축제는 지난해 문제점을 개선해 방문객 만족도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