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스마트팜 청년 창업농 안정 정착 방안 모색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15일 영암 무화과 스마트팜 청년 창업농 방문

 

[한국기자연대]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한 중점 추진 과제의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10월 15일 전남 영암에 있는 무화과 스마트팜 청년 창업 농가를 방문, 운영 현황을 살피고 안정 지원책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방문한 청년 창업 농가는 지난해 스마트팜을 구축한 후 무화과를 재배해 백화점, 온라인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 청장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팜에서 무화과가 재배되는 현황을 둘러보고 농장 운영 상황에 대해 자세히 들었다. 이 자리에서 농가 대표는 청년 창업농, 귀농인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이 꾸준히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이에 공감하며, 스마트팜 도입 초기 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는 방법과 생육 관리 데이터 분석‧활용 교육 지원책 등 다양한 지원 방안에 대해 의견을 피력했다.

 

이와 함께 이 청장은 “최근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스마트팜 융합 모형을 적용하면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개별 스마트팜 기술을 골라 적용하거나 묶음으로 설치할 수 있다.”라고 소개했다.

 

이 기술이 보급되면 스마트팜 환경 관리 지능화, 농작업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를 구축해 작물 생산성과 농가 소득 증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앞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능형 환경 관리, 작물 생육 자동 계측, 병해충 예찰과 진단, 에너지 모니터링 기술 등을 상용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를 통해 스마트농업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농업인 부담은 줄이고 더 쉽고 정밀하게 작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는 전라남도농업기술원 관계관이 동행해 스마트농업 시대를 맞아 청년들이 초기 투자 부담 없이 안정적으로 영농에 정착할 수 있도록 벤처 창업 교육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귀농인, 청년창업인, 초보 농업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팜 융합 모형을 개발해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이 모형을 적용하면, 우수 농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작물을 관리할 수 있어 높은 소득을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