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자연대] 소방청은 ‘제20회 화재조사관 자격시험’을 통해 176명의 화재조사 전문 소방공무원을 새롭게 배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은 지난 9월 20일 전국 단위로 실시됐으며, 응시자 300명 중 176명이 최종 합격(합격률 58.6%)했다.
화재조사관은 '소방의 화재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화재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소방공무원에게 부여되는 자격이다. 자격시험은 화재조사론·화재학·화재원인판정(1차, 객관식) 과목과 화재감식학·화재조사 실무(2차, 주관식) 과목으로 구성되며, 각 과목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응시자가 합격자로 결정된다.
최종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35.8세로 전년도 35.9세와 비슷했으며, 계급별로는 소방교 73명(41%), 소방장 46명(26%), 소방사 29명(17%), 소방위 27명(15%), 소방경 1명(0.5%)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자 133명(75.6%), 여자 43명(24.4%) 이었다. 여성 합격비율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여 여성 소방공무원의 전문분야 진출이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도별로는 서울(29명), 경기(25명), 경북(24명), 강원(22명) 순으로 합격자가 많았다.
화재조사관 자격시험은 2005년 첫 시행 이후 현재까지 3,227명의 전문 인력을 배출했으며, 이들은 전국 소방본부와 소방서에 배치되어 화재 원인 규명, 피해조사, 재발방지 대책 수립 등 현장 중심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과학적 분석 기반의 화재조사 체계 확립을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조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소방청은 앞으로도 화재조사 전문인력의 지속적 양성과 교육과정을 강화해, 인명·재산피해를 줄이고 화재조사 신뢰도를 제고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이번 시험을 통해 새롭게 배출된 176명의 화재조사관들은 과학적 조사 능력으로 화재 예방 대책 수립 및 현장 대응에서도 전문성을 높이는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육과 전문성 강화를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화재조사 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