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봉화로 일대 제일고, 김포중 등 학교 앞 인도의 가드레일을 설치하지 않아 등하교시 학생들은 물론이고 지역주민들까지 무단횡단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이 일대는 일반 주택이 밀집되어 있어 노인들의 무단횡단으로 교통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으나 인도 가드레일 설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가 하면 예산조차 세워 놓지 않아 탁상행정이란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문제의 도로는 왕복 2차선도로로 등하교 시 일대 학생들이 인도가드레일이 없어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는 등 교통사고 위험으로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가 개설 된지 수년이 지났지만 대책도 세우지 않은 채 방치해 놓고 있어 설치 요구의 목소리가 높다. 더욱이 각 지자체들이 학교 주변 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시설( 가드레일)물 설치를 우선시 하고 있으나 시는 이를 등한시 해 “희망의 도시 도약하는 김포”란 슬로건을 무색케 하고 있어 후퇴하는 행정이란 지적이다. 이로 인해 지난3월28일 오후6시쯤 인근에 사는 박모씨 (63.여 )가 무단횡단을 하다 교통사고를 당해 경상을 입고 이에 앞서 1월 27일 오후3시40분쯤에는 동네 박모씨 (83. 여)가 가드레일이 설
경기도 김포시가 관내 읍. 면. 동에 설치 관리하고 있는 주, 정차 금지 구역을 지정하면서 도로가 아닌 개인 재산의 사도를 지정 관리해 오고 있어 재산권 침해와 관련, 논쟁이 우려된다. 특히 시는 도심의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하고 사교를 예방한다는 차원에서 관내 모두 84개 구역을 주, 정차 금지구역으로 지정 관리해 오고 있으나 일부 지역의 도로를 사유지 임에도 주, 정차 금지구역으로 지정해 취소를 요구하는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사도에 지정된 주, 정차 금지구역은 시가 구획정리 사업 전 지정 할 당시 토지대장을 확인하지 않고 지정해 관리해 오고 있어 과거 구태적인 탁상 행정이란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게다가 시가 도로를 개설하면서 토지수용에 따른 편입과 건축허가 과정에 제시한 기부채납 등 조건부 승인에서 귀속된 토지를 지금까지 이행되지 않았거나 공부상 정리를 게을리 해 벌어진 민원으로 행정의 그릇 됨을 지적받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경찰청에 이러한 문제에 대해 질의해 보았으나 주. 정차금지 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해도 행정절차상 문제가 없다” 고 회신을 받아놓았으며 공부상 문제는 해당 부서에서 빠른 시일 내로 처리를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