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자연대] 서울 성동구는 9월 23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과 함께 한양대학교 의생명융합연구센터 신축공사 현장에서 합동 불시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점검은 최근 소규모 건설 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추락사고를 예방하고, 중앙정부와 기초자치단체가 협력하는 중대재해 예방 거버넌스 구축 차원에서 추진된 것으로, 전국 최초 사례다.
점검에서는 엘리베이터 설치 시 추락방지 미조치, 외부비계 작업발판 미설치, 개구부 덮개 미고정 등 추락사고 위험요인이 확인됐고, 즉각적인 개선을 지시했다.
이어 성동구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안심 성동 프로젝트’ 시연이 현장에서 진행됐다. 이 사업은 QR코드를 활용해 외국인 노동자들이 17개국 언어로 안전수칙을 모바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공사 현장의 통역 인력 부족과 외국어 자료 부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 모델이다.
현장 프로그램 시연 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안심 성동 프로젝트’를 전국으로 확산시켜 특히 소규모 건설 현장의 외국인 노동자 안전을 강화하고, 산재 사망 제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성동구는 산업안전과 관련해 지방정부의 권한과 역할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가는 과정에서, 중앙정부의 조치를 기다리기보다 현장에서 먼저 경험과 역량을 축적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산업안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반복적이고 예견 가능한 사고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가장 확실한 투자이며, 안전한 현장을 지켜내는 기업이야말로 가장 높은 가치를 창출한다”면서 “성동구는 앞으로도 중앙정부와 협력해 지역 산업안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나아가 성동구는 '노동안전 종합대책'의 기조에 맞춰 연내 ‘산업안전기동대’를 신설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도입한 모델로 서울 자치구 특성에 맞게 최초로 확대, 도입하는 모델이다. 구는 소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게 된다. 또한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단위 산업안전 거버넌스를 점차 정착시켜 나갈 전망이다.